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선형 리스트
- 단층 퍼셉트론
- 리스트
- 딥러닝 교차 엔트로피
- 연결 자료구조
- 인공지능
- DB
- lost function
- 자연어처리
- 딥러닝
- 퍼셉트론
- 자료구조 알고리즘
- 뇌를 자극하는 알고리즘
- 엔트로피
- 딥러닝 교차엔트로피
- 파이썬 딥러닝
- 확률분포
- 편미분
- 신경망
- 단층퍼셉트론
- 회귀분석
- 오퍼랜드
- 컴퓨터구조
- 파이썬 날코딩으로 알고 짜는 딥러닝
- DBMS
- 자료구조
- 파라미터
- 순차 자료구조
- 노드
- 교차 엔트로피
- Today
- Total
목록IT (109)
YZ ZONE
캐시 기억장치 ▣ 캐시 기억장치 사용 목적 ▪ CPU와 주기억장치의 속도 차이로 인한 CPU 대기 시간을 최소화 시키 기 위하여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설치하는 고속 반도체 기억장치 ▣ 특징 ▪ 주기억장치(DRAM)보다 액세스 속도가 더 높은 칩(SRAM) 사용 ▪ 가격 및 제한된 공간 때문에 용량이 적다 ▣ 캐시 적중(cache hit) ▪ CPU가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있는 상태 ▣ 캐시 미스(cache miss) ▪ CPU가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없는 상태 ▪ 이 경우에는 주기억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옴 ▣ 적중률(hit ratio) ▪ 캐시에 적중되는 정도(H) ▣ 캐시의 미스율(miss ratio) = (1 - H) ▣ 평균 기억장치 액세스 시간(Ta) : Ta = H × Tc + (1 ..
기억장치 모듈의 설계 ▣ 기억장치 모듈이란? ▪기억장치 칩의 데이터 I/O 비트 수가 컴퓨터의 단어 길이보다 적은 경우 ➔여러 개의 칩들을 병렬로 접속하여 기억장치 모듈을 구성 (한 번에 한 단어씩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...) ▪ 단어의 길이 = N비트, 기억장치 칩의 데이터 I/O 비트 수 = B 라면,➔N/B 개의 칩들을 병렬 접속!! [예] N = 8일 때, 16×4비트 RAM 칩들을 이용한 기억장치 모듈의 설계 ➢방법 : 2개의 RAM 칩들을 병렬 접속 ➢모듈의 용량 : (16×4) × 2개 = 16×8비트 = 16바이트 ➢주소 비트(4개: A3∼A0) : 두 칩들에 공통으로 접속 ➢칩 선택(Chip Select: CS) 신호도 두 칩들에 공통으로 접속 ➢주소 영역 : 0000 ∼ 111..
RAM (random access memory) ▣ 자기 코어 기억장치 ▪ 초기 컴퓨터에서 많이 사용됨 ▪ 미세 전자공학의 발전과 더불어 자키 코어 기억장치가 사라짐 ▪ 최근에는 거의 모든 컴퓨터시스템에서 주기억장치 소자로서 반도체 기억장치 칩들이 사용되고 있음 ▣ RAM 특성 ▪ RAM = 반도체 기억장치 ▪ 임의 액세스 방식 ▪ 반도체 집적회로 기억장치(semiconductor IC memory) ▪ 데이터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 ▪ 휘발성(volatile) :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내용이 지워짐 1K x 8비트 RAM 칩과 제어 신호들 제조기술에 따른 분류 ▣ DRAM (Dynamic RAM) ▪ 캐패시터(capacitor)에 전하(charge)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소자들(..
계층적 기억장치시스템 ▣ CPU와 기억장치 사이의 속도 격차 문제 ▪ 컴퓨터시스템의 성능에 가장 중요한 영향일 미치는 요소는 CPU 임 ▪ CPU가 아무리 빠르더라도 기억창지가 느리다면, CPU는 명령어나 데 이터를 액세스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기다리게 되어 시스템 성능 이 저하될 수밖에 없음 ▪ 최근 기억장치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반도체 기억장치의 속도 가 계속 높아지고는 있지만 CPU의 속도는 더욱 향상되고 있기 때문에, 속도 격차는 줄어들지 않고 있음 ▣ 계층적 기억장치시스템이란? ▪기억장치들은 유형에 따라 기능, 속도, 용량 및 가격이 매우 다양함 ▪ 컴퓨터시스템에서 기억장치는 속도뿐 아니라 다른 측면들도 함께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함 ▪ 계층적 기억장치시스템이란 속도, 가격 및 크기가 ..
기억장치의 분류와 특성 ▣ 기억장치 ▪ 모든 컴퓨터시스템들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를 가지고 있음 ➢주기억장치(main memory) ➢보조저장장치(auxiliary storage device) ▪ 최근 CPU와 기억장치들 간의 속도 차이가 커지고 필요한 저장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,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고 가격대성능비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형의 기억장치들을 시스템에 포함시키고 있음 ➢기억장치는 내부 기억장치(internal memory)와 외부 기억장치(external memory)로 구성됨 ▣ 기억장치의 분류와 특성 및 용어들에 대해서 학습 ▪해당 차시에서는 먼저 기억장치의 분류와 특성 및 용어들에 대하여 살 펴봄 ▪ 컴퓨터시스템은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기억장치를 ..
마이크로프로그램의 순서 제어 ▣ 명령어 실행 제어 ▪ 제어 유니트가 명령어의 실행을 제어한다는 것은 ▪ 제어 기억장치에 저장된 해당 마이크로명령어들을 순서대로 인출하는동작이라고 할 수 있음 ▪ 즉, 각 마이크로명령어를 읽어서 연산 필드에 있는 비트들을 출력시키 면, 그 비트들 자체가 제어 신호들이 됨 ▣ 순서 제어 (sequencing) ▪ 다음에 실행할 마이크로명령어의 주소를 결정하는 기능 ▣ CAR ▪ 다음에 인출할 마이크로명령어의 제어 기억장치 주소를 가지고 있음 ▪ CPU가 처음 동작을 시작하는 순간 ➢ CAR = 0 ➢인출 사이클 루틴의 첫 번째 마이크로명령어를 인출하면서 마이크로프로그램 실행이 시작됨 ▣ MUX1 ▪ 다음에 실행할 마이크로명령어의 주소 선택 ▣ MUX2 ▪ 조건 플래그를 선택하..